윤보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윤보(尹珤, ? ~ 1329년)는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초명은 윤문옥(尹文玉),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윤언이(尹彦頤)의 5대손이다.
1278년(충렬왕 4) 내시(內侍)·첨사부녹사(詹事府錄事)로서 정방비칙치(政房必闍赤)에 임명되어 전주(銓注: 인사행정)를 관장하였다. 1296년 9월 좌승지로 있으면서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주관하였고, 다음해 12월 밀직학사로 승진하여 재추의 반열에 올랐다. 1298년 충선왕이 즉위한 후 5월 곧 홍문관학사·의조상서(儀曹尙書)에 임명되었으며, 7월 밀직부사·성균감대사성(成均監大司成)·수문전학사(修文殿學士)로 옮겼다. 그러나 8월 충렬왕이 복위하자 외직으로 나가 서북면도지휘사(西北面都指揮使)가 되었다. 다음해 2월 한희유무고사건(韓希愈誣告事件)을 일으킨 인후(印侯)가 원나라로 가는 것을 막지 못하였다 하여 파직되었다.
1307년(충렬왕 33) 3월 충선왕이 원나라에서 무종을 옹립한 공으로 실권을 장악한 뒤에야 비로소 복직되어 밀직부사가 되었다. 그 뒤 1321년(충숙왕 8)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로 치사하였으며, 다시 정승치사(政丞致仕)가 가직(加職)되고 영평군(鈴平君)에 봉하여졌으며, 1329년(충숙왕 16) 7월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문현(文顯)이다.
그는 인도와 서역 제국을 중심으로 그린 지도인 오천축국도(五天竺國圖)를 제작하기도 했다.
아버지는 감찰어사 윤순(尹純)이고, 어머니는 홍주이씨(洪州李氏)로 예빈소윤 이균(李昀)의 딸이다. 아들로는 윤안적(尹安𥡦)·윤암(尹諳)·윤안숙(尹安淑, 尹安肅)·윤안비(尹安庇)·윤계종(尹繼宗) 등이 있다. 부인 박씨와의 사이에서 6남 4녀를 두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